반응형

데이터 출처 : 통계청 인구동향조사 :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B8000G&conn_path=I3

이전 글로 우리나라 총인구수와 남녀 인구 비율에 관한 글과 15세에서 64세 사이의 생산가능 인구에 대한 글을 쓴 바 있다.

이번 글에서는 우리나라의 월간 출생자수와 사망자수의  변화를 2018년도와 2019년도 그리고 2020년도 3월까지의 데이터를 이용해서 비교해보고자 한다.   데이터는 통계청의 데이터를 활용한다.

아래는 2018년부터 2020년까지의 매년 출생자와 사망자수를 기록한 표이다.   출생자 수에서 사망자수를 뺀 값을 자연증가 값으로 설정하였다.

2020년도는 3월까지밖에 데이터가 없긴 하지만 2018년도와 2019년도에 자연증가수가 +였던 것에 반해 -로 감소한 것이 특이하다.

연도별 출생 사망 자연증가
2018년도 326,822 298,820 28,002
2019년도 303,054 295,130 7,924
2020년도(3월까지) 74,050 79,769 -5,719

 

위 표에 대한 상세한 데이터를 보기 위해 아래 링크의 파일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2020.3월 대한민국 출생 사망자수 통계 데이터

 

이제부터 위의 데이트를 이용하여 그래프를 그리고 우리나라의 출생자와 사망자 추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그림1,  우리나라 연도별 월간 출생자수 그래프

 

그림 1은 2018년부터 올해 3월까지 2년 3개월간 우리나라의 월별 출생자수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특이한 내용을 보자면 2018년부터 2020년까지 그래프가 매년 하향세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매년 출생자수가 감소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 하나의 특이한 점은 연초에는 출생자수가 많다가 연말로 갈수록 출생자수가 줄어든다는 것이다.  12월까지 감소하다가 1월이 되면 다시 증가하는 것인데 무슨 이유일까 참 궁금하다.   

태아가 엄마 뱃속에 있는 기간을 10개월이라고 보면 1월보다 10개월 이전인 봄이 시작되는 춘 3월에 결혼과 함께 임신을 많이 하는 것이 아닐까 막연하게 추측해본다.   

그러고 보니 결혼식을 가장 많이 하는 달은 몇 월일까 하는 것도 궁금해진다.

 

 

그림2. 우리나라 연도별 월간 사망자수 그래프

 

그림 2는 우리나라의 3년간 월별 사망자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연초와 연말에 사망자수가 다소 많은 것을 볼 수 있다.   아무래도 추운 계절에 노년층의 사망률이 높기 때문이 아닐까 추정해본다.

또 하나의 특이한 점은 2020년도 2월과 3월의 사망자수가 다소 높은 것을 볼 수 있다.  한편에서는 2월부터 확산되기 시작한 코로나로 인한 사망자가 늘어난 것이 원인이라고 하는 이들도 있는 것 같다.

2020년도는 3월까지의 데이터로 경향을 분석하기는 사실 충분하지 않다.   통계청에서 6월 이후의 데이터가 발표되는 시점이 되어야 어느 정도 제대로 된 경향을 분석할 수 있을 듯싶다.

 

 

그림3 우리나라 연도별 월간 인구자연증가수 그래프

 

그림 3은 우리나라의 인구의 출생과 사망에 따른 자연증가수를 연도별 월별로 분류하여 그래프로 그린 것이다. 

특이한 사항으로 두 군데에 빨간 원을 표시하여 두었다.

"A"라고 표시한 원이 있는 곳은 2020년도 들어서 3개월 동안 인구가 계속 감소했다는 사실이다.   출생자에 비해 사망자수가 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2에서 볼 때 2020년도 사망자수가 약간 늘긴 하였지만 평균적으로는 큰 차이가 날 정도는 아닌데 그림 1의 출생자수는 2018년도와 2019년도에 비해 2020년은 현격하게 줄어든 것을 볼 수 있다.

즉, 2020년도는 지난해에 비해 출생자수가 현격이 줄어듬에 따라 인구 자연증가수가 감소로 돌아선 것이다.    지난 글에서 우리나라 인구가 2017년에 정점을 찍고 계속 감소 추세라는 글을 쓴 바 있는데 그림 3은 그런 경향을 확실하게 보여주고 있는 거라고 볼 수 있겠다.

그림 3에서 "B"라고 표시된 부분에 2018년도와 2019년도 모두 인구가 크게 감소한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추운 겨울에 노년층의 사망자수가 증가함과 동시에 그림 1에서 설명한 12월로 갈수로 출생자수가 줄어드는 이유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림4 우리나라 전국지역별로 비교한 인구변화에 대한 그래프

 

그림 4는 우리나라 인구변화를 전국 주요 시도별로 나누어서 비교한 그래프이다.  즉,  전국 지역별로 출생자수와 사망자수에 대한 분포를 비교한 것이다.

사용한 데이터는 2020년 3월 데이터이다.

특이한 점은 경기도의 출생자수가 타 지역에 비해 완전 넘사벽이다.   출생자수보다 사망자수가 훨씬 적어서 자연증가도 타 지역에 비해 매우 높음을 보여주고 있다.

빨간 막대그래프가 자연증가수 그래프인데 이 그래프가 0보다 아래에 있으면 인구가 감소한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

그림 4에서 빨간 막대그래프가 서울과 인천 경기 등 수도권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0보다 아래에 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그중에서도 부산, 대구 전북, 전남, 경북, 경남 등 주로 남쪽 지역에서 자연 감소된 인구가 많음을 알 수 있다.   

아기를 출생할 수 있는 연령 층이 수도권으로 몰리는 현상 때문인 것으로 추측되는데 기회가 있으면 이에 대한 데이터를 좀 더 수집해서 함께 분석하는 글을 써보도록 하겠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Stats